미국에서는 특히 컴퓨터 업계에서 머리를 써야 하는 난제인, 일명 ‘브레인티저(brainteaser)’ 면접 질문을 적극 활용해왔다. 통상 IBM이 이 분야의 시초로 여겨진다. IBM의 전설적인 엔지니어인 존 W. 베커스(John W. Backus)는 인사부서의 악몽이었다. 그가 가진 많은 재능들은 도무지 측정이란 게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성적 불량으로 퇴학을 당한 후 베커스는 제2차 세계대전 때 미군에 징집되었다. 군은 그에게 종합 적성검사를 실시했고 정규 복무를 하기에는 지나치게 똑똑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국가 세금으로 대학으로 보내졌다.
베커스는 뉴욕에 있는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과 석사 과정을 밟았다. 어느날 그는 길을 걷다 아주 우연히 운 좋게도 메디슨 애비뉴에 있는 IBM 본사를 지나치게 되었다. 그곳에는 IBM의 신종 전자계산기가 전시되어 있었다. 맨해튼의 작은 사무실 크기 정도의 경이로운 미니어처였다. 베커스가 감탄하며 그것을 뚫어져라 보고 있자, 한 IBM 투어 안내원이 그에게 질문을 하기 시작했다. 베커스는 자기가 수학을 공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내원은 그를 위층으로 올려 보냈고, 알고 보니 그게 면접이었다. 이 면접은 일련의 논리적 수수께끼로 이루어져 있었다.
때는 1950년이었고, IBM은 진퇴양난의 처지에 있었다. 소프트웨어 디자인은 절대 전자공학의 영역이 아니란 걸 뒤늦게 깨달았던 것이다. 그 분야는 완전히 생소해서 이름도, 적당한 학위 과정도 없었다. ‘소프트웨어’라는 용어조차 존재하지 않았을뿐더러, 당시 ‘하드웨어’라는 말은 화장실 배수관 뚫는 기구를 뜻했다. IBM이 꼭 필요로 하는 사람이라면 어떤 경력의 소유자여도 상관없었다. 논리 퍼즐로 테스트한 것은 비록 임시변통일망정, 새로운 방식으로 사고할 수 있는 사람을 가려내기 위한 고육지책이었다.
베커스는 그 자리에서 바로 채용될 정도로 이 퍼즐들에 훌륭하게 답했다. 그는 마침내 팀을 이끌어 최초의 고급 컴퓨터 언어인 포트란(FORTRAN)을 만들어냈다.

포트란이 소프트웨어 역사에서 갖는 중요성은 하드웨어 역사에서 트랜지스터가 갖는 중요성에 비견되어왔다. 당시엔 모든 사람에게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와 관련된 경험이나 교육 배경이 전무한 상태였기 때문에, 베커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사람을 모아야 했다.
“그들은 문제해결 기술에 특별한 소질을 보이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데려갔죠. 브리지 카드 게임 선수, 체스 선수, 심지어 여자들까지도.”
바사르 칼리지에서 수학을 전공했던 로이스 하입트(Lois Haibt)의 말이다. 팀 인원은 10명까지 늘어났으며, 그중에는 결정학자(crystallo-grapher)와 암호 해독자도 포함돼 있었다.

참고문헌

  • 당신은 구글에서 일할 만큼 똑똑한가? / 윌리엄 파운드스톤 저/유지연 역 / 타임비즈 / 2012년 04월 19일 / 원제 : Are You Smart Enough to Work at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