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집합(sets)

A set is an unordered collection of objects, called elements or members of the set. A set is said to contain its elements. We write to denote that a is an element of the set A. The notation denotes that a is not an element of the set A.

  • 집합은 순서 없는 객체들의 컬렉션이다.

집합의 같음

Two sets are equal if and only if they have the same elements. Therefore, if A and B are sets, then A and B are equal if and only if . We write if A and B are equal sets.

  • 두 집합이 같은 원소를 갖고 있다면 두 집합은 같다.
  • 이고, 이면 .

부분집합(subset), 진 부분집합(proper subset)

The set A is a subset of B if and only if every element of A is also an element of B. We use the notation to indicate that A is a subset of the set B.

  •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의 원소이면 A는 B의 부분집합이다.
  • : 진 부분집합(proper subset)
    • 이고, 이면 A는 B의 진 부분집합.

멱집합(poser set)

Given a set S, the power set of S is the set of all subsets of the set S. The power set of S is denoted by .

  • 집합 S의 멱집합(power set)은 집합 S의 모든 부분집합의 집합을 말한다.
  • 로 표기한다.

데카르트 곱(cartesian products)

Let A and B be sets. The Cartesian product of A and B, denoted by , is the set of all ordered pairs , where and . Hence,

  • A와 B의 데카르트 곱 이고 인 모든 순서쌍의 집합이다.
  •  
  • 의 부분집합 을 집합 A 로부터 집합 B로의 관계(relation)라고 한다.

연산

합집합(union)

Let A and B be sets. The union of the sets A and B, denoted by , is the set that contains those elements that are either in A or in B, or in both.

  • 여러 집합의 합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집합에 있는 원소들의 집합이다.

교집합(intersection)

Let A and B be sets. The intersection of the sets A and B, denoted by , is the set containing those elements in both A and B.

  • 여러 집합의 교집합은 여러 집합 모두에 나타나는 원소들의 집합이다.

서로 소(disjoint)

Two sets are called disjoint if their intersection is the empty set.

  • 두 집합의 교집합이 공집합인 경우를 서로 소라 한다.

차집합(difference)

Let A and B be sets. The difference of A and B, denoted by , is the set containing those elements that are in A but not in B. The difference of A and B is also called the complement of B with respect to A.

  • A에 대한 B의 여집합(complement of B with respect to A) 이라고도 부른다.

여집합(complement)

Let U be the universal set. The complement of the set A, denoted by , is the complement of A with respect to U . Therefore, the complement of the set A is .

  • 여집합은 이고, 로 표기한다.

집합의 항등


항등법칙 Identity laws

지배법칙 Domination laws

멱등법칙 Idempotent laws
보원법칙 Complementation law

교환법칙 Commutative laws

결합법칙 Associative laws

분배법칙 Distributive laws

드 모르간의 법칙 De Morgan’s laws

흡수법칙 Absorption laws

보수법칙 Complement laws

datatype 과 집합

컴퓨터과학에서 이야기하는 “데이터형”이라고 하는 개념은 집합의 개념 위에 정의된다는 것에 주목하라. 특히 datatype, type이란 집합과 그 집합을 구성하고 있는 개체에 적용할 수 있는 연산자들의 집합을 말한다. 예를 들어 boolean 이란 집합 과, 그 원소인 0과 1을 피연산자로 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AND, OR, NOT과 같은 연산자들을 함께 지칭하는 것이다.

집합의 크기

Cardinality of Sets

Let S be a set. If there are exactly n distinct elements in S where n is a nonnegative integer, we say that S is a finite set and that n is the cardinality of S. The cardinality of S is denoted by .

  • 0 이상의 정수 에 대하여, 집합 개의 서로 다른 원소가 존재하면
    • 는 유한집합(finite set)이다.
    • 은 집합 의 크기(cardinality)이다.
  • 유한 집합(finite set) 의 크기는 로 표기한다.

The sets A and B have the same cardinality if and only if there is a one-to-one correspondence from A to B. When A and B have the same cardinality, we write .

  • 집합 A와 B가 같은 크기(same cardinality)이면
    • A로부터 B로의 전단사 함수가 존재한다.
    • 두 집합의 크기가 같을 때 로 표기한다.

If there is a one-to-one function from A to B, the cardinality of A is less than or the same as the cardinality of B and we write . Moreover, when and A and B have different cardinality, we say that the cardinality of A is less than the cardinality of B and we write .

  • A로부터 B로의 단사 함수가 있다면
    • A의 크기는 B보다 작거나 같다. .
  • 이고, 이면
    • A의 크기는 B보다 작다. .

셀 수 있는 집합

Countable Sets

A set that is either finite or has the same cardinality as the set of positive integers is called countable. A set that is not countable is called uncountable. When an infinite set S is countable, we denote the cardinality of S by (where is aleph, the first letter of the Hebrew alphabet). We write and say that S has cardinality “aleph null”.

  • uncountable(셀 수 없는) 집합
  • countable(셀 수 있는) 집합
    • 원소의 수가 유한한 집합.
    • 원소의 수가 무한한 집합 중, 원소의 수가 양의 정수의 집합과 같은 크기를 갖는 집합.
      • 무한집합 S가 셀 수 있을 경우 S의 크기를 라고 표기한다. .
      • 는 “알레프 널(aleph null)”이라 읽는다.
  • 무한 집합을 셀 수 있다는 말은 좀 이상하게 들릴 수 있다.
    • 양의 정수의 집합으로부터 어떤 집합 S로의 일대일 대응이 가능하다면(전단사 함수) 셀 수 있다고 생각하자.

If A and B are countable sets, then is also countable.

  • 집합 A와 집합 B와 셀 수 있는 집합이면, 도 셀 수 있는 집합이다.

슈뢰더-베른슈타인 정리

Schröder–Bernstein theorem

If A and B are sets with and , then . In other words, if there are one-to-one functions from A to B and from B to A, then there is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A and B.

  • A, B 가 이고 , 이면 이다.
  • 즉 A 에서 B 로의 단사 함수 가 존재하고, B 로부터 A 로의 단사 함수 가 존재하면 A와 B는 전단사 함수 관계이다.

예제: 인가?

  • 슈뢰더 베른슈타인 정리를 사용하자.
    • 이다. 그러므로, 에서 으로의 단사 함수가 존재한다.
      • 가 그러한 단사 함수의 하나에 해당한다.
    • 에서 로의 단사 함수를 찾아보자.
      • 의 모든 원소를 로 대응시키는 단사 함수다.
    • 따라서 는 참이다.

모든 정수의 집합은 셀 수 있는가?

  • 모든 정수는 다음과 같이 나열할 수 있을 것이다. 인덱스를 매기기 애매하다.
  • 나열하는 방법을 바꿔서, 다음과 같이 나열해 보자.

이렇게 하면 양의 정수로 인덱스를 매길 수 있다. 전단사 함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다.

1 2 3 4 5 6 7
0 1 -1 2 -2 3 -3

따라서 모든 정수의 집합은 셀 수 있다.

모든 양의 유리수의 집합은 셀 수 있는가?

다음과 같이 배열하면 순서대로 셀 수 있다.

따라서 양의 유리수의 집합은 셀 수 있다.

셀 수 없는 집합

An Uncountable Set

칸토어의 대각선 논법

Cantor diagonalization argument: 실수는 비가산 집합이다.

  • 귀류법을 사용하자.
    • 실수의 집합이 셀 수 있다고 가정하자.
    • 셀 수 있는 집합의 부분 집합은 셀 수 있으므로, 실수의 부분집합도 셀 수 있을 것이다.
    • 적당히 (0, 1) 범위()의 수들의 집합을 잡는다.
      • 이 집합이 셀 수 없는 집합임을 보이면 된다.

0 과 1 사이의 실수를 모두 나열한다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 여기에서
    • 의 소수점 아래 번째 숫자를 말하며,
    • 이다.

그런데 가 다닥다닥 붙어있으니 알아보기가 어렵다.

네모칸을 나누어, 한 글자가 한 칸에 들어가도록 하면 눈이 편할 것 같다.

예를 들어 를 이렇게 표기해 보자.

= 0 . 1 4 1 5 0 0

이제 0 과 1 사이의 모든 실수를 다음과 같이 나열했다고 하자.

= 0 .
= 0 .
= 0 .
= 0 .
               
  • 위에서 실수의 집합이 셀 수 있는 집합이라 가정했으므로,
    • 이렇게 나열한 집합도 셀 수 있는 집합이어야 한다.

그런데 부터 까지의 모든 수와 각 자리값이 하나씩만 다른 수를 만들어 보자.

이 수를 만들 수 있다면 0과 1 사이의 실수들 중 나열하지 못한 수가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모순이 발생하며, 그러므로 0과 1 사이의 실수는 셀 수 없는 집합이 된다.

그 수 는 다음과 같이 만든다. (그러므로 실수의 집합은 셀 수 없는 집합이다.)

  1. i 값을 1로 한다.
  2. 실수 의 소수점 아래 번째 수를 확인한다.
    • if 그 수가 4 이면 의 소수점 아래 번째 수를 5 로 한다.
    • else 의 소수점 아래 번째 수를 4 로 한다.
  3. i1을 더한다.
  4. 가 마지막 숫자인가?
    • if 맞다면 작업을 끝낸다.
    • else GOTO 2

예를 들어 부터 이 다음과 같다고 하자.

= 0 . 4 2 3 0 0
= 0 . 1 2 4 0 0
= 0 . 1 4 5 0 0
= 0 . 1 4 2 0 0
= 0 . 1 4 2 7 0 0

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 0 . 4

4와 5로만 구성된 수이지만, ~ 중 어느 숫자와도 같을 수 없다. 적어도 한 자리는 다른 숫자가 되기 때문이다.

계산 가능, 계산 불가

coumputable, uncomputable

We say that a function is computable if there is a computer program in some programming language that finds the values of this function. If a function is not computable we say it is uncomputable.

  • 계산 가능
    •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로 어떤 컴퓨터 프로그램을 짰을 때, 그 프로그램이 어떤 함수의 값을 계산해 낼 수 있다면, 그 함수는 계산가능하다고 한다.
  • 계산 불가능
    •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로 어떤 컴퓨터 프로그램을 짰을 때, 그 프로그램이 어떤 함수의 값을 계산해 낼 수 없다면, 그 함수는 계산불가능하다고 한다.

용어 정리

English 한국어 Example, 설명
element, member 원소  
roster method 원소나열법
set builder notation 조건 제시법
empty set, null set 공집합
singleton set 단일원소 집합
venn diagrams 벤 다이어그램  
universal set 전체집합
subsets 부분집합  
proper subset 진부분집합  
size of a set, cardinality 집합의 크기
power set 멱집합
ordered n-tuples 순서가 있는 n짝  
ordered pairs 순서쌍  
countable 셀 수 있다(가산)  
aleph 알레프

조건 제시법의 예

자연수의 집합 the set of natural numbers
정수의 집합 the set of integers
양의 정수의 집합 the set of positive integers
유리수의 집합 the set of rational numbers
실수의 집합 the set of real numbers
양의 실수의 집합 the set of positive real numbers
복소수의 집합 the set of complex numbers

구간(interval) 표기법

  • [a, b] : 닫힌 구간(closed interval)
  • (a, b) : 열린 구간(open interval)

참고문헌

  • Rosen의 이산수학 / Kenneth H. Rosen 저 / 공은배 등저 / 한국맥그로힐(McGraw-Hill KOREA) / 2017년 01월 06일

Links